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수도권 신도시에 쏠린 일자리…전체 취업자 증가 절반 차지

기사승인 25-05-09 12:08

공유
default_news_ad1

지난 10년간 수도권 신도시에서 발생한 취업자 수 증가가 전체 증가분의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과 지방 간 일자리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9일 발표한 '지역 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수도권 신도시에서 증가한 취업자 수는 150만명으로, 같은 기간 전국 취업자 증가분 331만명의 46.8%를 차지했다.

전국에서 취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상위 20개 시군 중 12곳이 수원, 화성, 용인, 시흥 등 수도권 신도시로 나타났으며, 경기도만 해도 전체 취업자 증가의 77.2%를 차지할 정도로 집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비수도권 지역 중에서는 세종시와 전남 나주시, 전북 완주군 등 행정도시나 혁신도시, 수도권 인접 산업도시인 충남 아산시, 충북 진천군 정도만이 눈에 띄는 취업자 증가세를 보였다.
 
 
그래픽=주은승
 
 
청년층 취업자 수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집중되는 현상이 뚜렷했다. 2023년 1분기 기준 청년 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 안산시(17.4%)와 충남 천안시(16.6%)였으며, 반대로 전북 순창군은 1.8%로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특히 순창군의 청년 취업자 수는 10년 전보다 70%나 줄었다.

전통적으로 남성 중심의 고용이 이루어졌던 조선업 밀집 지역인 광양시, 거제시, 여수시, 영암군 등에서는 산업 침체 이후 여성 고용률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격차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 벌어지는 추세다. 2013년에는 임금 수준이 높은 상위 20개 시군 중 8곳이 비수도권이었지만, 2023년에는 6곳으로 줄었고, 상위 10개 지역 중에서는 세종시만이 비수도권 도시로 포함됐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수도권과 지방 간 일자리 양극화 확대에 대해 "지역의 인재 유출, 특히 청년층 유출과 제조업 쇠퇴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중소기업의 일자리 질을 개선하는 지원 정책들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이 스스로 지역발전의 대안을 수립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되, 재정적 여력과 내적 역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자칫 지역 간에 소모적 경쟁만 강화되지 않도록 지역의 정책 역량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일자리  #취업자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그래픽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