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러, 북한에 자폭 드론 제조역량 이전·대량생산 지원, 남·북 군사적 균형에 변화가 불가피

기사승인 25-06-11 15:23

공유
default_news_ad1

우크라이나 정보총국장, “러시아, 대북(對北) 드론 제조 기술·대량생산 지원”

韓, 북한의 군집(벌떼) 드론 공격 대응 제한…2030년 독자 개발 완료 예정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 정보총국장(이하 부다노우)은 러시아가 북한이 파병(派兵)해준 대가로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등의 항공 전력·잠수함,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탄도 미사일 관련 기술을 포함해 자폭 드론 제조 기술을 이전(移轉)하고 있으며, 대량생산을 지원하고 있기에 한반도의 세력 균형에 변화가 우려된다고 전해졌다.

부다노우는 지난 9일(현지시간) 美 군사 매체인 더워존(이하 TWZ)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영토에서 ‘가르피야(Garpiya, 중국산 엔진·부품·기술을 사용해 만든 러시아의 공격용 드론으로 일명 ‘가미카제 드론’, 비행거리 1,500km)’와 ‘게란-2(Geran-2, 이란산 샤헤드-136 장거리 드론을 러시아가 개조한 버전, 비행거리 2,500~4,000km)’ 유형의 드론 생산 능력을 구축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당국자가 러시아의 대북(對北) 드론 생산 지원을 직접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부다노우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가장 심각한 공중 위협이 되는 샤헤드 계열의 드론 생산 능력을 북한에 넘긴 셈이다”며, “남북한의 역내(域內) 군사력 균형에 분명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기습 침공할 때 이란에서 장거리 드론(샤헤드-136)을 대거 들여와 공습하였고, 수년 동안 가장 위협적인 장거리 공중공격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현재 러시아 자체에서 생산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WB Electronics, 더워존, 위키백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그래픽=김성진 기자
 
 
TWZ는 “북한이 샤헤드-136 드론을 보유 시 한국 내 어느 곳이든 구애받지 않고, 대규모 타격을 가할 수 있다”면서 “한국의 방공망을 무력화한 뒤 다른 무기의 공격으로까지 이어지게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얼마 전부터 軍 관계자들과 전문가들 사이에선 “북한이 지난해부터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본격적으로 자폭 드론을 대량생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하 김정은)은 지난해 11월 신형 자폭 드론 성능시험을 현지 지도하면서 신속하게 대량생산에 착수하도록 주문했다.

당시 북한 노동신문이 공개한 드론 형태가 샤헤드-136(러시아명 게란-2)과 거의 유사했기에 러시아의 기술이 지원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2023년 7월 정찰·공격 무인기 ‘샛별-4형’과 ‘샛별-9형’을 처음 공개했던 북한이 1년여 만에 한 차원 더 높은 전력화에 도달했기에 기술 이전이 의심됐었다.

문제는 북한 자폭 드론 공격에 대한 한국군의 대비태세가 아직 완전하지 않다는 점이다. 북한이 자폭 드론의 대량생산 체제로 들어선다면, 한국군의 방공시스템은 상당히 곤혹스러울 수 있다.

중국은 군사력으로 대만을 점령한다며 위협하면서 행동을 통해 인-태 지역에서의 상대적 우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대만은 중국 인민해방군의 공격에 대비해 재래식 전쟁 중심으로 대비하던 무기체계의 기조까지 폐기하면서 공격용 드론과 재블린 보유를 늘리고 있다. 소량의 투자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비대칭 전력을 구축하기 위해서다.

한국군도 2014년부터 북한의 소형 드론 침투 사태와 오물 풍선 등의 도발이 빈번해지면서 드론 방어체계 개발이 시급해졌다. 이에 따라 드론 전투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2023년 9월 부로 ‘드론 작전사령부’를 창설하고, 감시·정찰·공격용 드론을 개발하고 있지만, 북한의 자폭 군집(群集·벌떼) 드론 확충에 따라 방향성의 재설정이 시급한 현실이다. 한편 국내에서 개발 중인 자폭 드론은 시험단계에 있다. 

대한항공은 2010년 사단정찰용 드론(KUS-FT) 체계 개발에 착수해 2018년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고, 2020년 초도 양산 및 軍 전력화가 완료됐다. 한화시스템과 항공우주산업(이하 KAI)도 ‘KUS-7·9 정찰 드론’과 ‘군단급 무인 정찰기(RQ-101)’를 운용하면서 자폭 드론과 군집 드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시험 단계로서 2030년이 돼야 실전 배치가 가능하다.

민간 기업들이 드론 산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부품 국산화율은 70% 이상으로 향상되었지만, 군사적 측면에서 북한의 드론 공격에 대응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현재 북한의 자폭 드론 대량생산에 대응하기도 벅차다. 또한, 북한은 1~6m급 소형 드론 20여 종 500여 대를 비롯해 1,000여 대를 보유했다고 알려져 있다.

일부 군사전문가의 “육군과 공군이 5km 고도를 기준으로 방공을 분담하고 있지만, 경계선 인근에 사각지대(지역)가 발생할 수 있다”며, “북한이 다양한 종류의 무기를 동원해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한다면, 레이더 스크린이 포화상태가 되기에 효과적으로 방어하기가 대단히 어렵다”는 경고를 진중하게 새겨야 한다.

지난해 11월 북한 노동신문도 김정은이 신형 자폭 드론 시험을 현지 지도할 당시 “드론이 크고 작은 분쟁에서 명백한 성과를 내고 있다”며, “하루빨리 계열 생산 체계를 구축해 대량생산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라”고 강조했다는 점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김성진 국방전문 기자 btnksj@naver.com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그래픽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