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기준 고령치매환자 자산 GDP의 6.4%
자산 보유 치매환자 76만명…평균 2억원, 74%는 부동산
국내 고령 치매환자들이 보유한 자산, 일명 ‘치매머니’가 2023년 기준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6.4%에 해당하며, 2050년에는 약 488조원(GDP의 15.6%)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학교 건강금융센터와 함께 국내 최초로 치매 환자 자산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는 공적자료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 환자는 총 124만398명이었으며, 이 중 61.6%인 76만4689명이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이 보유한 총자산은 153조5416억원으로, 1인당 평균 약 2억원에 달했다. 그중 비중이 가장 높은 부동산 자산은 전체의 74.5%인 113조7959억원, 금융자산은 전체의 21.7%인 33조3561억원이었다.
저출산위는 "전체 인구의 2.4%에 불과한 고령 치매 환자의 자산이 GDP의 6.4% 수준으로 나타나 인구 대비 자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라며, "치매로 인한 자산 동결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결코 적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는 향후 치매환자가 2030년 178만7000명, 2040년 285만1000명, 2050년 396만7000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고령 치매인구 증가로 치매머니도 급속히 늘어 2050년에는 지금보다 3배 이상 늘어나 488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50년 예상 국내총생산(GDP)의 15.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우리나라 최초로 고령 치매환자의 실물자산과 소득을 전수조사해 치매머니의 전체 규모와 실체를 파악하게 됐다"며 "관련 연구용역도 진행한 후 치매머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원 대책을 마련해 연말에 발표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학교 건강금융센터와 함께 국내 최초로 치매 환자 자산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는 공적자료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 환자는 총 124만398명이었으며, 이 중 61.6%인 76만4689명이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이 보유한 총자산은 153조5416억원으로, 1인당 평균 약 2억원에 달했다. 그중 비중이 가장 높은 부동산 자산은 전체의 74.5%인 113조7959억원, 금융자산은 전체의 21.7%인 33조3561억원이었다.
|
저출산위는 "전체 인구의 2.4%에 불과한 고령 치매 환자의 자산이 GDP의 6.4% 수준으로 나타나 인구 대비 자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라며, "치매로 인한 자산 동결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결코 적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는 향후 치매환자가 2030년 178만7000명, 2040년 285만1000명, 2050년 396만7000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고령 치매인구 증가로 치매머니도 급속히 늘어 2050년에는 지금보다 3배 이상 늘어나 488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50년 예상 국내총생산(GDP)의 15.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우리나라 최초로 고령 치매환자의 실물자산과 소득을 전수조사해 치매머니의 전체 규모와 실체를 파악하게 됐다"며 "관련 연구용역도 진행한 후 치매머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원 대책을 마련해 연말에 발표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